본문 바로가기
The Better/가이드

냉장고 비교 및 선택 방법

by 하이랍스타 2021. 3. 28.
반응형

냉장고는 우리 식생활에 없어서는 안 될 필수가전이 된 지 오래입니다. 브랜드나 용량, 유형은 모두 다르겠지만요~

 

다른 가전들도 마찬가지겠지만 한번 구입하면 보통 십수 년 이상 사용하게 되는데요~ 모델에 따라 가격도 만만치 않지만 오랫동안 사용을 하기에 선택하는데 많은 고민이 따르게 됩니다. 

 

이번엔 냉장고를 선택하는 방법에 대해서 간단히 알아보도록 할게요~ 

 

 

 

List 

1. 용량 선택

2. 유형 별 장단점 

3. 기타 유형 및 설치 공간

 

 

 

1. 용량 선택 

 

냉장고 안 음식들
냉장고 용량 선택

 

최근 추세는 미니멀리즘을 지향하고 있어 가구 인원에 따른 구분은 크게 의미가 없긴 합니다. 이보다 앞서 식생활이나 라이프 스타일에 따른 용량 선택이 더 중요하게 떠오르고 있죠~ 그래도 간단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인 가구는 400L 이하의 소형 냉장고를 추천하고, 2인 가구는 400L 에서 600L의 냉장고 500리터 급, 3~4인 가구는 800L 이상의 냉장고 900리터 급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2. 유형 별 장단점 

 

일반형 냉장고
냉장고 유형 별 장단점

 

① 4도어 냉장고

 

상냉장, 하냉동 구조를 지니고 있으며 대세 트렌드 이기도 합니다.

냄비도 통째로 보관이 가능한 넓은 수납공간을 가지고 있고 자주 사용하는 냉장칸을 넓게 사용을 할 수 있는 점, 저장 공간이 분리됨으로써 음식물 냄새가 섞이지 않는 점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어요~

 

냉동칸을 사용하려면 허리를 굽혀야 하는 점, 역시나 상단 안쪽에 있는 식재료는 꺼내지 불편하다는 단점도 가지고 있습니다. 단점이라고 하기보다 큰 용량이 가지고 있는 구조적인 문제이기도 합니다.

 

 

② 양문형 냉장고 

 

좌냉동 우냉장의 구조로 가장 일반적이고 익숙한 유형입니다. 냉동, 냉장이 모두 상단에 있기에 자주 쓰는 식재료를 꺼내기 편리하고 사용 빈도가 높은 재료의 보관도 상단에 놓을 경우 무척 편리한 장점이 있습니다. 

 

단점으로는 4도어 대비 도어가 무겁고 가로폭이 조금은 좁아 큰 냄비 같은 경우 직접 보관이 어려울 수 있으며 냉동 상단에 보관한 음식물이 낙하할 경우 부상을 입을 수 있어요~ 저도 몇 번 경험이 있습니다. 꽁꽁 언 것은 정말 돌덩이와 같다고 생각하시면 돼요~ 무척 주의해야 합니다. 

 

 

③ 일반형 냉장고 

 

상냉장 하냉동(최근) 혹은 상냉동 하냉장 구조로 좁은 공간에도 설치가 가능하여 효율적인 공간 관리를 할 수 있고 용량 대비 우수한 가성비를 가지고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단점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은 적은 용량의 아쉬움이죠~ 

 

 

 

3. 기타 유형 및 설치 공간

 

빌트인 냉장고
냉장고 기타 유형 및 설치 공간

 

① 기타 유형 

 

이러한 일반적인 유형 외에 세미빌트인이나 모듈형을 꼽을 수 있습니다. 많이 튀어나오는 공간이 싫다면 세미빌트인, 추가 용량이 필요하거나 어중간한 공간의 문제라면 모듈형을 추가로 설치하여 용량을 늘이는 방법도 있어요~ 

 

최근에는 실내 인테리어와 어울리게 디자인된 모듈형을 이어 붙여 사용하는 것도 많이 선호하는 추세입니다. 

 

용량을 결정하는 것은 대부분 깊이입니다. 너비와 가로는 같은 유형에서는 거의 같다고 보시면 돼요~ 설치한 후 용량이 클수록 생각보다 앞으로 튀어나왔다고 하는 것도 이 때문입니다.

세미빌트인은 보관 공간을 조금 양보하고 음식물 꺼내기 편리함, 덜 튀어나오는 공간을 얻습니다. 

 

 

② 설치 공간

 

제품 기준으로 양 옆은 각 5㎝ 이상의 공간이 필요하고 뒷면은 약 5~10㎝ 이상의 공간이 필요합니다.

이런 공간을 띄고 설치하는 이유는 통풍 때문인데요~ 통풍이 되지 않으면 냉각력이 떨어짐과 동시에 제품과 벽면에 이슬이 맺히고 이는 전기료 상승의 원인이 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기준 너비 이상이 충분하게 확보되어 있는지 제품 사이즈와 공간 사이즈를 꼭 실측해 보셔야 해요~ 

반응형

댓글